다 장단점이 존재함.
1. 일본도 공장빵 형태가 시장 60%이상 장악이라고 함.
우리는 30%인가??
2.국내 생산 밀이나 등등 구매 안해주고 수입에만 의존 일시적으로 수입잘 될것임.
그런데 그게 빵 가격 싸진다는 보장 못함.
어차피 공장빵이 주가 아니라서..
3.우리나라는 빵 소비가 늘어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빵이 주식 아님.
간식임.. 간식인 커피도 비싸잖아. 간식인 다른 여러가지도 다 비싸.
4.우리나라 생산 안되는 것 .. ( 농업도 경쟁력 사라지면 수입하겠지 다.. 지금도 엄청 수입중인데. )
수입하면 진짜 가격이 싸질까?
지금 그나마 국내 생산이 되고 있으니.. 그나마 수입품이 저렴한것이라고도 볼수 있음.
5. 우리나라 자영업은 원재료비용+임대료+인건비등등 다양하지만.
복합적으로 작용함. 한가지 이유만으로 작동 안함.
6.5번과 연계된 원재료 해외 수급.. 일본보다 중국보다 그 능력이 떨어짐.
가격 책정시나 물량 배정에 그나라의 판매자들 입장에서 우선순위에서도 밀림.
이유는 그 나름 물량이나 역량이 부족함
일본이나 중국이나 해당 지역 기업에 투자하거나 대량 수입 물량으로 역량유지해버림.
일본도 농업부분에서 정부지원 많이 함.
일본 딸기 저게 딸기야 할정도의 가격이 존재함.
매론도 사과도 포도도.. 고품질 유지하고 있는것 자체가 농업인 이익 보전해줄려고 하는것임.
그런데 과연 그 품질과 가격으로 우리나라에서 판매한다고 했을때.
그 가격에 사먹는 사람들 존재 하겠지만. 원하는 매출 나올까???
그런 여러가지 요인도 존재 할것임.
시장크기도 농업규모도 달라서.
과거에 해외에 농사 짓을 땅 구매해서 그곳에서 대량 농사짓고 그걸 수입하자.
라는 정책을 하기는 했음. 실패했지.
지금도 그 땅 보유한곳 존재 한다고 함. 정부에서 하다가 기업으로 이관 했나.
소량의 임대료 받고 있다는 뉴스 본적 있음.
인구대비 농사짓을 땅이 좁아 대량 농업 하기 힘들어.
그게 우리나라 농업의 최대 단점이지.
그 단점 때문에 어쩔수 없이 이해 관계자들이 가득해.
서로 협의도 힘들어.
예로 농촌에서 나름 그 적은 땅이라도 텃밭도 소량 쌀이나 작물 농사해서 먹고 살수는 있어.
뭐 부자도 못되고 여가도 즐기지 못하지만.
나름 도시 하루 벌어 하는 사는 사람보다는
밥 먹는건 나름 먹고 사는 농촌 노인분들,
그런데 그 땅을 매도 하거나 대량 농업용으로 임대하면
그 다음은 그들에게 없어.. 먹고 살것도 없고
그래서 그것만이라도 쥐고 있어야 하고 쥐고 있는거야 ..
너무 우리나라 농업계 비난하지마라.
뭐 그 사이에서 해먹는 것들이 많이 존재 하기는 함.
어디나 그런 것들이 존재하니까.
위 내용은 내 개인적인 생각임.
니들 다른 주장이 있다면 니들 주장이 맞음.
수입 막고 있는게 아니라.
일정부분 국산 사용하자 그게 있겠지.
아흐 그 호텔 케익 50만원 80만원...일반인들은 진짜 큰 마음 먹고 먹을까 고민해야 하건데.
다른건 그렇다쳐도 가장 기본 바게뜨 같은거도 너무 비싼게 문제라고. 재료가 비싼게 뭐가 들어간다고.
아무튼 이 일 가지고 이리저리 의미부여해가면서 난동피우는 애들이 있더라고. 일 키우는 애들도 있고. 이런애들이 제일 문제임.
수입시 엄청 이득일건데.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