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는 냉매를 말하는거 같은데
대기온도에 따라 넣는 압력이 다르고
요즘 많이 쓰이는 410가스는
액냉매 상태로 넣냐 가스상태로 넣냐에 따라서도 정상압이냐 아니냐가 달라지거덩
고로 너가 알아낼 정보가 너에게 도움이 될 가능성이 1도 없음
느낌이 구리다면 정식 서비스를 통해서 넣는게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임 (사설업체는 비추)
집 거실엔 인버터형 타워형 / 내 작은방엔 10년정도된 정속형 벽걸이 있는데
거실 인버터는 처음틀때 18도 정도 강하게 해두고 온도 적당히 낮아지면 에어컨 온도 올리고 약한 바람으로 계속 유지
작은방 정속형은 똑같이 처음틀때 18도 정도로 온도 내리고 시원해지면 송풍 돌렸다가 1~2시간 후에 더워지면 또 냉방틀고 그러는데
이런식으로 사용하는게 맞는거야?
거실 부터 말하면 인버터 제품이라서 니가 어떤식으로 돌리든 딱 열교환비 만큼 에너지 씀
그냥 고민하지말고 니가 원하는 설정온도에 맞춰서 on하면 됨. 별도의 방식이 효율 좋으라고 만들어진 제품이 아님
실내 열 부하, 설정온도, 실외 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센싱해서 운전율을 조정하는 방식이니까 사용자가 머리 쓸 필요가 없음.
작은방 정속형은 그렇게 쓰는게 효율이긴긴 함 정속형은 on off개념이라 니가 틀면 전기쓰고 끄거나 송풍으로 돌리면 전기 안쓰니까
가장 확실한 확인 방법은 정속형 제품의 실외기 가동 빈도,시간이 줄어들수록 전기를 덜 먹는다는 거
지금 2만 AU로 자유게시판 배너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배너 구입시 2일간 이곳에 원하는 배너를 달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배너 크기는 838x100 입니다. 배너를 등록한 뒤 게시판에서 작성하는 모든 글은 붉은 색상으로 표시됩니다. 배너 등록시 사용한 AU의 50%가 경험치로 전환됩니다. 아래에 직전에 등록되었던 배너가 표시되고 있습니다.
나라에서 에너지효율관리 할때
1등급이니 2등급이니 맞추라고 하는데
그거 맞출라고 온몸비틀기하듯 연구해서 효율 좋은거 내놓으면 그게 비싼거지
그게 아니라면 메이커 차이에 의한 가격차이인데 그냥 LG,삼성 중에 사는게 속이 편함
기판 녹아본적 있는데
구형은 그런게 더 적다던데
경량화 ,단가 싸움으로 인해 점점 구려지긴 함
녹으니 마니 까진 아니고 보통은 설치환경에 따라 좌우됨
근데 구형이라고 짱짱한것도 아닌게 기판 자체가 원래 소모품임
오래된게 강하다해도 새거가 오래갈 확률이 높을겨
셀프로도 할 수 있으려나?
열교환기 (흔히 에바라고 말함)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가 많음
그리고 보통은 곰팡이 때문임
이런경우 셀프세척은 쫌 비추임
세척하다 센서나 기판 말아먹는 경우가 허다하니까.
내 가족이 너처럼 물어봤다면 업체 부르라고 할거같음
대기온도에 따라 넣는 압력이 다르고
요즘 많이 쓰이는 410가스는
액냉매 상태로 넣냐 가스상태로 넣냐에 따라서도 정상압이냐 아니냐가 달라지거덩
고로 너가 알아낼 정보가 너에게 도움이 될 가능성이 1도 없음
느낌이 구리다면 정식 서비스를 통해서 넣는게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임 (사설업체는 비추)
공기청청기랑 비슷한 원리인가
필터랑 집진기 같은게 혼합된 방식임 (모든 메이커가 그런건 아니겠지만)
공청기랑 비슷한거 맞음 ㅇㅇ
효과도 좋다고 하더라 (팔아먹는 제조사의 데이터라서 너무 맹신하진 말고 ㅋㅋㅋ)
떨림에 의한 소음이라면 체결 문제같은데?
고로 필터가 잘 끼워진건지 확인하고
필터가 꽂히는 판넬,그릴 같은것도 잘 체결되었는지 살펴보시오
근데 차가운 냉매가 안돌때 묘한 쉰내, 철 냄새 같은게 나기도 함
이게 쫌 열받는다면 약품으로 세척하는걸 추천하고
그럼에도 안 사라진다면 님이 민감한 경우일수도 있음
체감이 안될정도지만 관리에 도움은 당연히 된다 정도인듯?
송풍도 건조를 위함이고 그럼 곰팡이도 덜 생기니까
애초에 창문형이 워낙 저렴해서 세척비용이 아까울거같기도 하고
거실 인버터는 처음틀때 18도 정도 강하게 해두고 온도 적당히 낮아지면 에어컨 온도 올리고 약한 바람으로 계속 유지
작은방 정속형은 똑같이 처음틀때 18도 정도로 온도 내리고 시원해지면 송풍 돌렸다가 1~2시간 후에 더워지면 또 냉방틀고 그러는데
이런식으로 사용하는게 맞는거야?
그냥 고민하지말고 니가 원하는 설정온도에 맞춰서 on하면 됨. 별도의 방식이 효율 좋으라고 만들어진 제품이 아님
실내 열 부하, 설정온도, 실외 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센싱해서 운전율을 조정하는 방식이니까 사용자가 머리 쓸 필요가 없음.
작은방 정속형은 그렇게 쓰는게 효율이긴긴 함 정속형은 on off개념이라 니가 틀면 전기쓰고 끄거나 송풍으로 돌리면 전기 안쓰니까
가장 확실한 확인 방법은 정속형 제품의 실외기 가동 빈도,시간이 줄어들수록 전기를 덜 먹는다는 거
정속형만 좀 신경써서 틀고 그래야겠다 ㄳ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