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개인적으로는 런닝이 무릎부담이 더 크다고 느낍니다. 가동범위의 각도가 더 크거든요.
오히려 줄넘기는 제자리 뛰기인 만큼 생각보다 무릎의 움직임이 적습이다. 기껏해야 착지할 때 살짝 굽히며 충격을 분산하는게 다니까요.
반대로 그만큼 줄넘기는 발목, 종아리에 자극이 많이 옵니다.
실제로 줄넘기를 3년 넘게 하면서 살이 전체적으로 많이 빠졌지만, 종아리만 거꾸로 더욱 두꺼워지는 바람에 옛날에 입던 바지를 다 버리고 말았어요.
살이 빠져서 허리는 딱 맞는데 정작 종아리가 꽉 끼어서 못 입겠더라고요.
다만 그만큼 발목 부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횟수를 철저하게 나눠서 하는게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중간에 휴식 없이 한번에 400개 이상 뛸 경우 발목, 무릎에 부담이 커지더라고요.
그래서 횟수를 100개, 150개, 200개씩 나눠서 3천개를 채우는 식으로 뛰고 있습니다.
초반에 100개씩 뛰며 워밍업을 하다가,
적당이 몸에 열이 돌았다 싶으면 150개, 200개씩 점점 횟수를 늘려서 3천개를 채우거든.
한번에 3천개 다 뛰라면 뛸 수는 있는데... 다음날 발목이 시려와서 안 좋더라고.
오히려 줄넘기는 제자리 뛰기인 만큼 생각보다 무릎의 움직임이 적습이다. 기껏해야 착지할 때 살짝 굽히며 충격을 분산하는게 다니까요.
반대로 그만큼 줄넘기는 발목, 종아리에 자극이 많이 옵니다.
실제로 줄넘기를 3년 넘게 하면서 살이 전체적으로 많이 빠졌지만, 종아리만 거꾸로 더욱 두꺼워지는 바람에 옛날에 입던 바지를 다 버리고 말았어요.
살이 빠져서 허리는 딱 맞는데 정작 종아리가 꽉 끼어서 못 입겠더라고요.
다만 그만큼 발목 부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횟수를 철저하게 나눠서 하는게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중간에 휴식 없이 한번에 400개 이상 뛸 경우 발목, 무릎에 부담이 커지더라고요.
그래서 횟수를 100개, 150개, 200개씩 나눠서 3천개를 채우는 식으로 뛰고 있습니다.
무릎은 소모품이거든
저 앱은 뭔가요??
사용한 기기는 갤럭시 핏3이고요.
운동 칼로리를 너무 짜게 측정하는 것만 빼면 심박수를 제법 세세하게 측정해주고 있어서 애용하고 있어요.
기분상 칼로리 소모 높게 찍히는 거 때문에
저도 체중이 줄었지만 수정안하고 있어요 ㅋㅋ
런데이 쓰는데 삼성헬스도 써봐야겠네요